지금부터 주택 임대보증금 등에 대한 간주임대료 계산해 보기 이용방법을 설명하겠습니다.
국세청 홈택스 사이트에 접속 후 화면 중앙상단의 「로그인」을 클릭합니다.
로그인 화면입니다.
공동인증서, 간편인증, 아이디 등 다양한 방법으로 로그인할 수 있습니다.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로그인하겠습니다.
국세청 홈택스(www.hometax.go.kr) 홈페이지 우측 하단에 「세무 업무 가이드 맵(Map)」의 「모의계산」→「바로가기」를 클릭합니다.
「주택 간주임대료 계산해보기」 의 「2024년」을 클릭합니다.
화면에 보이는 사례의 간주임대료를 계산해 보겠습니다.
(아래 표를 종료시까지 계속 띄어놓기)
임대주택 1의 보증금 등을 입력하기 위해 「임대주택 추가」 버튼을 클릭합니다.
임대주택 1은 1월 1일부터 5월 28일까지 보증금이 2억원이므로 보증금 등에 2억원을 입력하고 임대기간을 2024년 1월 1일부터 5월 28일까지로 입력 합니다.
임대기간 시작일과 종료일은 2024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로 기본 설정되어 있으며 종료일만 5월 28일로 수정합니다.
다음으로 해당 주택의 주거전용면적과 기준시가를 입력합니다.
주거전용면적이 40㎡ 이하이면서 기준시가가 2억원 이하인 주택은 간주임대료 계산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기준시가는 2024년 12월 31일까지 소유하고 있는 경우에는 2024년 12월 31일의 기준시가를, 2024년도 중 양도한 경우에는 양도일의 기준시가를 입력합니다.
주거전용면적에 50을 입력하면 기준시가는 임대주택1의 주거용면적이 40㎡ 초과이므로 기준시가에 관계없이 간주임대료 계산 대상인 비소형주택이므로 기준시가는 입력하지 않아도 됩니다.
다음 임대주택1의 2024년 5월 29일 이후 보증금을 입력하기 위해 「임대주택 추가」를 클릭합니다.
앞에 입력한 주택의 임대기간 종료일이 2024년 12월 31일이 아닌 경우 추가하고자 하는 임대주택이 앞에 입력한 주택과 동일한 주택인지 묻는 팝업창이 뜹니다.
동일한 주택인 경우 확인을, 다른 주택인 경우 취소를 선택합니다.
지금은 추가하고자 하는 임대주택이 앞에 입력한 주택과 동일한 주택이므로 확인을
선택합니다.
확인을 선택하면 임대기간 시작일은 앞에 입력한 임대기간 종료일의 다음날로 채워지며, 주거전용면적 및 기준시가는 앞의 주택과 동일한 내용으로 채워집니다.
2024년 5월 29일 이후 보증금 2억 3천만원을 입력합니다.
임대기간 등을 확인 후 「임대주택 추가」를 클릭합니다.
「임대주택 2」는 1월 1일부터 7월 24일까지 보증금이 2억원이므로 보증금 등에 2억원을 입력하고 임대기간 종료일을 2024년 7월 24일로 입력합니다.
임대주택2의 경우도 주거용면적이 40㎡ 초과 이므로 기준시가에 관계없이 간주임대료 계산 대상인 비소형주택이므로 기준시가는 입력하지 않아도 됩니다.
다음 「임대주택 2」의 2024년 7월 25일 이후 보증금을 입력하기 위해 「임대주택 추가」를 클릭합니다.
앞에 입력한 임대주택의 임대기간 종료일이 7월 24일이므로 동일한 주택인지를 묻는 팝업창이 뜹니다.
동일한 주택을 입력하므로 확인을 선택합니다
7월 25일부터 12월 31일까지의 보증금인 2억 7천만원을 입력하고 임대기간 등을 확인 후 「임대주택 3」을 입력하기 위해 「임대주택 추가」를 클릭합니다.
「임대주택 3」의 보증금과 임대기간, 주거전용면적, 기준시가를 입력합니다.
임대주택3은 주거용면적이 40㎡ 이하이나 기준시가가 2억원을 초과하므로 간주임대료 계산 대상인 비소형주택입니다.
모든 임대주택의 보증금 등을 입력 완료하였습니다.
「계산하기」를 클릭합니다.
임대주택 1,2,3의 간주임대료 합계 결과가 팝업창으로 뜹니다.
「확인」을 클릭하면 임대주택별 간주임대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간주임대료는 「임대주택 1」은 1,836,065원, 「임대주택 2」는 1,280,081원, 「임대주택 3」은 2,729,998원입니다.
각 임대주택의 임대기간별 간주임대료는 화면 아래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우측 상단의 「간주임대로 설명 및 계산사례」를 클릭하면 2024년 귀속 주택 임대보증금 등에 대한 설명과 다양한 계산사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2024년 귀속부터 간주임대료 계산 시 적용하는 정기예금이자율이 종전 2.9%에서 3.5%로 개정되었습니다.
이상으로 「주택의 보증금 등에 대한 간주임대료 계산해 보기」 이용방법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